by Jonathan Wilson
플레이메이커라고 불리는 선수들은 언제나 빠르게 진화를 거듭하곤한다. 요즘 시대에 맞는 표현으로 바꾸자면 창조적인 선수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이번 주중에 있었던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 1차전 경기들은 플레이메이커라는 포지션에 대한 해석이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줬다.
바이에른 뮌헨은 완벽한 경기를 바탕으로 유벤투스를 2:0으로 꺾었다. 뮌헨 입장에서 아쉬운 점은 단 2가지였을 것이다. 첫째는 단지 2골밖에 넣지 못했다는 것이고 둘째는 근육을 다친 토니 크로스가 약 6주 동안 경기에 나서지 못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토니 크로스가 현대적인 공격형 미드필더의 모범이라 말하고 싶다. 토요일 프랑크푸르트전에서 무승부만 기록하더라도 분데스리가 우승을 확정지을 수 있고 1차전에서 2:0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에 유벤투스와의 2차전에 대한 부담이 덜한 뮌헨이지만 토니 크로스 없이 챔피언스 리그 4강전 경기를 치르는 것은 뮌헨에게 크나큰 손해일 것이다.
23살 크로스는 베슬리 스네이더보다 고작 5살 어릴 뿐이다. 그렇지만 스네이더와 크로스의 차이는 상당하다. 한때 스네이더도 미래형 플레이메이커처럼 여겨졌지만 전성기에 다다른 시점의 스네이더는 클래식형 플레이메이커였다. 수요일 경기에서도 스네이더는 과거에나 먹힐 수 있는 플레이메이커 역할만 수행하고 말았다. 사비 알론소는 스네이더의 위협을 효과적으로 차단했다. 지난 몇주간 갈라타사라이의 테림 감독이 '10번(플레이메이커) 역할'을 위해 포메이션까지 바꿨는데 스네이더의 영향력은 미비했다.
스네이더와 달리 크로스는 동적이고 근면하다. 크로스는 공격형 미드필더는 물론이고 후방 미드필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측면도 소화할 수 있고 심지어 4-4-2 포메이션에서의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도 수행할 수 있을 능력을 지닌 선수다. 시킨다면 크로스는 성공적으로 주어진 역할을 소화할 것이다. 번뜩이는 모습은 덜하지만 창조적이다. 신체적으로 강해보이지도 않으나 웬만해선 쓰러지지 않는다. 과하지 않을 정도로 공을 점유할 줄 안다. 크로스는 극도로 효율적인 선수이고 그 엄청난 효율성 때문에 안타깝게도 사람들은 그의 진가를 그다지 잘 알아보지 못한다.
크로스는 분데스리가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리그에서 89.7%의 패스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고 whoscored.com의 기록에 따르면 분데스리가에서 4번째로 높은 패스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크로스보다 더 높은 패스 성공률을 기록한 선수는 단테, 로엘 브라우버르스, 루이스 구스타보뿐이다. 이들은 중앙 수비수 및 수비형 미드필더다. 이들은 포지션 특성상 크로스보다 더 짧은 패스 및 안전한 패스를 시도한다. 따라서 이들의 패스 성공률은 기본적으로 높을 수 밖에 없다. 또한 크로스는 경기당 0.5회 비율로 정확한 스루패스를 찔러주는데 이는 볼프스부르크의 디에고에 이어 분데스리가에서 2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크로스가 플레이메이커의 미래고 스네이더가 과거라면 현재를 대표하는 선수는 아마 24살 메수트 외질이라 말하고 싶다. 외질은 크로스만큼의 수비적 역량을 갖추지 못했다. 그렇지만 스네이더보다는 열심히 수비에 임한다. 외질은 라 리가 경기당 평균 0.5회의 가로채기 및 1회의 태클을 기록한다. 이건 레알 마드리드가 대다수 리그 경기에서 상대를 지배하는 경기를 펼치는걸 감안하고 봐야할 기록이다. 외질의 공격력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적어도 전반전만큼은 펠리페 멜루가 시원찮게 방어한 것도 있지만 외질은 갈라타사라이와의 경기에서 아주 우수한 경기력을 선보였다.
스페인에서도 외질의 득점기회 창출 능력은 돋보인다. 현재까지 외질은 9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크로스와 가장 다른 점이 있다면 그건 바로 패스 성공률이다. 외질은 83.3%의 패스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고 라 리가에서 40번째로 높은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토니 크로스보다 공격적인 외질은 경기당 0.6회의 정확한 스루패스를 기록하고 있다.
선수들은 자신이 뛰고있는 팀의 시스템에 영향을 받게된다. 크로스는 바이에른의 축구에 완벽히 들어맞는 것이고 외질은 자신을 보다 더 자유롭게 풀어주는 레알의 시스템에 완벽히 들어맞고 있다. 레알이 외질에게 준 임무는 항상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어디있는지 신경쓰고 있으라는 것이다. 반면 갈라타사라이는 스네이더에게 맞는 환경을 제공해주지 못했다. 인테르가 스네이더에게 알맞는 자리를 만들어주기위해 고생했던 것처럼 말이다. 그렇지만 스네이더와 같은 플레이메이커의 시대는 지나간 듯 하다. 현재는 외질의 시대이고 크로스의 시대가 오기 시작할 것이다. 플레이메이커는 그렇게 변해갈 것이다.
출처 : http://www.guardian.co.uk/football/blog/2013/apr/04/playmaker-toni-kroos-mesut-ozil
'The Ques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사냥꾼의 시대는 이제 끝났는가? (0) | 2016.05.26 |
---|---|
티키-타카(tiki-taka)의 시대는 끝이 났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0) | 2016.05.25 |
풀백은 어떻게 피치 위 가장 중요한 포지션이 되었는가? (0) | 2016.05.25 |
공격축구는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는 개념인가? (0) | 2016.05.25 |
박스-투-박스(box-to-box) 미드필더들은 왜 사라졌는가? (0) | 2016.05.24 |